목록Spring Boot (48)
JUST GO
의존성 Spring Boot 및 웹 개발과 관련되어 있는 의존성의 나열이다. spring-boot-starter-tomcat(org.springframework.boot) : JSP로 해석된 스프링 부트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해줄 톰캣을 담고 있는 의존성이다. 이 의존성을 사용하지 않으면 톰캣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번거러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spring-boot-starter-web(org.springframework.boot) : 스프링 부트의 MVC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의존성이다. spring-boot-starter-thymeleaf (org.springframework.boot) : 뷰(View)단을 위한 HTML 템플릿 엔진이다. 스프링(부트)을 활용하여 HTML 문서를 보다 동적..

New Project 생성 Language : Java Type : Maven Group : dev.rootgo Artifact : study_web Package name : dev.rootgo.study_web JDK : temurin-11 Java : 11 Packaging : War Spring Boot : 2.7.5 선택 Download pre-built shared indexes for JDK and Maven libraries 체크 Spring Boot DevTools 체크 Spring Web 체크 Thymeleaf 체크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후술 하는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의 상태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Deprecated [Class | Method] : 해당 클래스 혹은 메서드가 더 이상 사용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물론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어 있어도 정상 작동은 하지만 보통 '다음 버전부터 빠질 겁니다~'라고 알려주는 데 사용된다. @Override [Method] : 해당 메서드가 재정의(Override) 되었음을 알린다. 생략하여도 제 기능은 하지만 (개발자로서의 입지가..) @Controller [Class] : 해당 클래스가 스프링 부트가 인식해야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임을 알린다. value : 컨트롤러의 식별자를 직접 지정한다. 지정하지 않을 경우 클래..

웹(Web) 클라이언트(Client) : 일반적으로 접속자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넓은 의미에서는 요청을 보내는 모든 주체를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서버(Server) :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돌려준다. 네이버, 카카오, 등 모두가 서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요청(Request)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는 요청을 의미한다. 요청은 크게 아래의 구성요소로 되어있다. 프로토콜(Protocol) : HTTP 혹은 HTTPS(SSL, Secure Sockets Layer) (-> https) 주소(URL, Address) : 요청을 보내는 경로. (-> naver.com) 방식(Method) : 요청을 보내는 방식.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 GET) 헤..